2025. 4. 3. 13:50ㆍ정치
2023년 8월, 서울대학교 후기 학위수여식에서 최재천 교수가 전한 메시지는 단순한 축사를 넘어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깊은 통찰력을 담고 있었습니다. '양심'과 '공정'이라는 두 가지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그는 미래 사회의 리더들에게 단순한 성공이 아닌 **함께 성장하는 공동체**를 만들어갈 것을 당부했습니다.
서울대 후기 학위수여식, '다양성'과 '공생'의 메시지
2023년 서울대학교 후기 학위수여식의 주제는 "다양성", "공생" 그리고 "협력"이었습니다. 이러한 주제 속에서 최재천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석좌교수의 축사는 울림이 컸습니다. 학사 978명, 석사 1,200명, 박사 656명 등 총 2,834명의 졸업생들 앞에서 그는 단순한 성공 너머의 가치를 이야기했습니다.
최재천 교수는 자신의 경험을 솔직하게 나누며 축사를 시작했습니다. "성공은 성적순이 아니다라는 사뭇 섭섭한 말이 있지요? 성적순이면 좋겠는데, 그렇죠?"라며 자신이 1970년대 '제2지망'이라는 제도를 통해 서울대에 입학했고, 대학 시절 학점 관리에 소홀했던 경험을 나누었습니다. 이러한 솔직한 자기 고백은 완벽해 보이는 성공 신화 뒤에 숨겨진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주며 청중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했습니다.
최재천교수의 서울대 졸업식 축사 전문과 하일라이트 | 꿈꾸는섬
항간에 관심을 받고 있는 이화여대 이화여대 최재천교수의 서울대 졸업식 축사 던문과 하일라이트를 소개해 드립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보이기 1 이화여대 최재천교수의 서울대 졸업식 축사
happist.com
사라져가는 양심, 우리 사회의 진정한 나침반
최재천 교수는 현대 사회에서 점점 사라져가는 '양심'이라는 가치에 주목했습니다. 손석희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지난 십몇 년 그 단어 자체를 들어본 기억이 별로 없습니다. 거의 안 쓰는 단어가 돼 버린 거예요"라며 양심이라는 단어가 우리 일상에서 사라져가는 현실을 안타까워했습니다.
그는 자신이 다양한 사회 활동에 참여하게 된 이유를 "양심"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저는 사실 태생적으로 상당히 비겁한 사람인데 왜 그럴 수 있었을까요? 그 이유를 곰곰히 생각하다 떠오른 단어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양심입니다."라고 고백하며, 양심이 개인의 삶과 사회적 책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강조했습니다.
손석희와의 대화에서 그는 "우리 사회는 점점 더 개인주의화되고 있고, 이 과정에서 공동체적 양심이 희미해지는 것은 아닐까?"라는 질문에 "개인의 권리와 자유가 강조되면서 공동체적 가치가 희미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공동체 속에서 살아가는 이상 양심과 윤리는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할 수밖에 없다"고 답했습니다.
손석희의 질문들 6회 사라져 간 양심을 논하다 최재천 교수와 배두나의 깊이 있는 대화
손석희의 질문들 6회 사라져 간 양심을 논하다 최재천 교수와 배두나의 깊이 있는 대화"MBC '손석희의 질문들' 6회에서는 최재천 교수와 배우 배두나가 출연해 '사라져 간 양심'에 대한 심도 깊은
tndud30.tistory.com
공평과 공정의 차이: 따뜻한 공정을 향한 지혜
최재천 교수가 가장 강조한 메시지 중 하나는 '공평'과 '공정'의 차이입니다. 그는 단순한 기계적 평등이 아닌,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따뜻한 공정'의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공정은 가진 자의 잣대로 재는 게 아닙니다. 가진 자들은 별 생각 없이 키 차이가 나는 사람들에게 똑같은 의자를 나눠주고 공정하다고 말합니다. 아닙니다! 그건 그저 공평에 지나지 않습니다. 키가 작은 이들에게는 더 높은 의자를 제공해야 비로소 이 세상이 공정하고 따뜻해집니다."
최재천 "서울대 졸업생, 혼자 아닌 모두 잘사는 세상 이끌어야"(종합)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제가 평생토록 관찰한 자연에도 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더군요. 서울대 졸업생으로서 혼자만 잘 살지 말...
www.yna.co.kr
이 명확한 비유는 진정한 공정함이란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합니다. 최 교수는 "공평은 양심을 만나야 비로소 공정이 됩니다. 양심이 공평을 공정으로 승화시켜 줍니다."라며 양심과 공정의 관계를 명쾌하게 설명했습니다.
[일글레] 최재천 교수가 서울대 졸업생들에게 전한 메시지
stibee.com
그는 특히 서울대 졸업생들에게 "치졸한 공평이 아니라 고결한 공정을 추구해야 한다"고 당부하며, "여러분의 선배들은 입으로 번드레하게 공정을 말하지만 너무나 자주 실천하지 않는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는 미래 리더들에게 과거의 실수를 반복하지 말고 진정한 공정을 실천하라는 강력한 메시지였습니다.
함께 살아가는 세상을 위한 리더십
사회생물학자로서 최재천 교수는 자연에서 배운 공생의 지혜를 나눴습니다. "제가 평생토록 관찰한 자연에도 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더군요. 서울대 졸업생으로서 혼자만 잘 살지 말고 모두 함께 잘 사는 세상을 이끌어 주십시오."
그는 농민 사상가 전우익 선생의 "혼자만 잘 살면 무슨 재민겨?"라는 질문을 인용하며, 진정한 성공이란 개인의 성취를 넘어 공동체 전체의 번영을 의미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자연 생태계에서도 공생과 협력이 생존의 핵심 전략임을 지적하며, 인간 사회 역시 서로 돕고 함께 성장할 때 지속 가능한 발전이 가능함을 설명했습니다.
"우리가 서로 많이 다르다는 두려움과 불안을 극복할 수 있는 눈을 찾아야 한다"며 "지금까지 만나온 모든 사람과 앞으로 만날 모든 사람을 바라보며 지혜와 연민, 감사를 발견하길 바란다"는 그의 당부는 다양성을 인정하고 포용하는 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심우정 검찰총장 딸 채용 특혜 의혹, 쟁점은 무엇인가?
최근 심우정 검찰총장의 딸이 외교부 공무직 연구원으로 채용되는 과정에서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이 불거져 정치권과 언론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채용 공고 변경부터 실무 경력 인정
avatar90.tistory.com
100세 시대를 준비하는 통섭형 인재의 길
최재천 교수는 서울대 졸업생들이 "100세 시대를 살아갈 첫 세대"임을 언급하며, 긴 인생에서 서울대 졸업장이 가지는 의미와 한계에 대해 명확히 지적했습니다.
"서울대 졸업장이 두 번째, 세 번째 직장을 얻을 때에도, 70대에 할 일을 찾을 때에도 지금처럼 막강한 힘을 발휘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천만의 말씀입니다. 여기까지입니다."
미래학자들의 예측을 인용하며 "여러분은 적어도 직업을 대여섯 번 갈아타며 살 것"이라고 전망하고, "융합의 세기, 21세기를 살아내려면 '통섭형 인재'가 되어야 합니다"라며 평생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국무위원의 침묵이 민주주의를 무너뜨린다: 이소영 의원의 강력한 국회 연설 분석
이소영 국회의원의 연설은 2024년 12월 계엄령 선포 사태 이후 국무위원들의 책임을 날카롭게 지적하며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근간을 되새기게 하는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침
avatar90.tistory.com
그의 조언은 단순한 축하를 넘어, 미래를 준비하는 실질적인 지침이었습니다. 서울대 졸업이라는 현재의 성취에 안주하지 말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에 맞춰 자신을 발전시켜 나갈 것을 당부한 것입니다.
최재천 교수의 메시지는 학위수여식이라는 짧은 순간을 넘어, 우리 사회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합니다. '양심'과 '공정'이라는 두 가지 가치를 중심으로, 그는 미래 세대에게 개인의 성공을 넘어 공동체 전체의 행복을 추구하는 진정한 리더가 되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그의 메시지는 한 사람의 학자로서가 아닌, 우리 사회의 변화를 열망하는 선배 시민으로서의 간절한 부탁이었습니다. 개인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닌, 양심에 바탕을 둔 공정한 사회를 위해 우리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함을 일깨워준 소중한 통찰입니다.
여러분은 최재천 교수의 메시지 중 어떤 부분이 가장 마음에 와닿았나요? 우리 사회에서 '양심'과 '공정'의 가치를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지 함께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
#최재천교수 #서울대졸업식 #양심 #공정 #공평 #다양성 #공생 #협력 #100세시대 #통섭형인재 #리더십 #사회생물학 #함께사는세상 #미래교육 #지속가능발전 #자연에서배우는지혜 #진화생물학 #사회적책임 #평생학습 #인생의지혜
Conscience Creating Warm Fairness: Professor Jae-Cheon Choi's Messag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ion
-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ion Ceremony: A Message of 'Diversity' and 'Coexistence'
- Disappearing Conscience: Our Society's True Compass
- The Difference Between Equality and Fairness: Wisdom Toward Warm Justice
- Leadership for a World of Coexistence
- The Path of Consilience Talent for the 100-Year Era
In August 2023, the message delivered by Professor Jae-Cheon Choi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graduation ceremony went beyond a simple congratulatory address, offering profound insights into the direction our society should take. Centering on the two core values of 'conscience' and 'fairness,' he urged future social leaders to build **communities that grow together** rather than pursuing mere individual success.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ion Ceremony: A Message of 'Diversity' and 'Coexistence'
The themes of the 2023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ion ceremony were "diversity," "coexistence," and "cooperation"^1. Within these themes, the address by Professor Jae-Cheon Choi of Ewha Womans University's Department of EcoScience resonated deeply. Speaking before 2,834 graduates including 978 bachelor's, 1,200 master's, and 656 doctoral degree recipients, he spoke about values beyond mere success^7.
Professor Choi began his speech by candidly sharing his own experiences. "There's a somewhat disappointing saying that 'success is not determined by grades.' It would be nice if it were based on grades, right?" He revealed that he entered Seoul National University through a 'second choice' system in the 1970s and neglected his grades during college^2. This honest self-disclosure showed the human side behind seemingly perfect success stories, creating empathy with the audience.
Disappearing Conscience: Our Society's True Compass
Professor Choi highlighted the value of 'conscience,' which is gradually disappearing from modern society. In an interview with Son Seok-Hee, he noted, "I have barely heard that word itself over the past dozen years or so. It has become a word that's hardly used anymore," lamenting how the concept of conscience is vanishing from our daily lives^8.
He explained that the reason he participated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was "conscience." "I am actually quite a cowardly person by nature, so why was I able to do those things? When I thought deeply about the reason, one word came to mind: conscience." Through this confession, he emphasized the impact of conscience on individual lives and social responsibility^8.
In his conversation with Son Seok-Hee, responding to the question, "Is our society becoming increasingly individualistic, and is communal conscience fading in this process?" he replied, "It's true that communal values are fading as individual rights and freedoms are emphasized, but as long as we live in communities, conscience and ethics must continue to play important roles."^8
The Difference Between Equality and Fairness: Wisdom Toward Warm Justice
One of Professor Choi's most emphasized messages was the difference between 'equality' and 'fairness.' He argued for the necessity of 'warm fairness' that considers social disadvantages, rather than simple mechanical equality^2.
"Fairness is not measured by the standards of the privileged. Those with privilege thoughtlessly distribute the same chairs to people of different heights and call it fair. No! That's merely equality. Only when taller chairs are provided to shorter individuals does this world become truly fair and warm."^7
This clear metaphor makes us think about what true fairness means. Professor Choi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ence and fairness succinctly: "Equality becomes fairness only when it meets conscience. Conscience elevates equality into fairness."^3
He especially urged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s to "pursue noble fairness, not petty equality," pointing out that "your seniors talk eloquently about fairness but too often fail to practice it."^2 This was a powerful message for future leaders not to repeat past mistakes but to practice true fairness.
Leadership for a World of Coexistence
As a sociobiologist, Professor Choi shared wisdom of coexistence learned from nature. "In the natural world I've observed throughout my life, no living being has survived without joining hands with others. As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s, please lead a world where everyone prospers together, not just yourselves."^7
Quoting farmer philosopher Woo-Ik Jeon's question, "What good is it if only you prosper?" he emphasized that true success means the prosperity of the entire community, beyond individual achievement^2. Pointing out that symbiosis and cooperation are key survival strategies in natural ecosystems, he explained that human society too can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only when people help each other and grow together.
His advice to "find eyes that can overcome the fear and anxiety that we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discover wisdom, compassion, and gratitude in all the people you have met and will mee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that recognizes and embraces diversity^7.
The Path of Consilience Talent for the 100-Year Era
Professor Choi mentioned that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s are "the first generation to live in the 100-year era," clearly pointing out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a Seoul National University degree in a long life^2.
"Do you think a Seoul National University degree will exert as powerful an influence when you seek your second or third job, or when you look for work in your 70s, as it does now? Not at all. This is as far as it goes."^2
Citing futurists' predictions, he projected that "you will change careers at least five or six times,"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ifelong learning, saying "to survive in the 21st century, the century of convergence, you must become 'consilience talent.'"^2
His advice went beyond simple congratulations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for preparing for the future. He urged graduates not to rest on their current achievement of graduat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but to continuously develop themselves in line with the ever-changing world.
Professor Jae-Cheon Choi's message extends beyond the brief moment of a graduation ceremony to indicate the direction our society should take moving forward. Centering on the two values of 'conscience' and 'fairness,' he urged future generations to become true leaders who pursue the happiness of the entire community beyond individual success.
His message was not just from a scholar but an earnest request from a senior citizen who desires change in our society. It is a valuable insight reminding us that we must all work together for a fair society based on conscience, rather than pursuing only individual interests.
Which part of Professor Choi's message resonated with you the most? I hope we can think together about how to practice the values of 'conscience' and 'fairness' in our society.
#ProfessorJaeCheonChoi #SeoulNationalUniversityGraduation #Conscience #Fairness #Equality #Diversity #Coexistence #Cooperation #100YearEra #ConsilienceTalent #Leadership #Sociobiology #LivingTogether #FutureEducation #SustainableDevelopment #WisdomFromNature #EvolutionaryBiology #SocialResponsibility #LifelongLearning #LifeWisdom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준석 의원의 정치 양극화 해소와 미래 비전: 한국 정치의 새로운 흐름 (1) | 2025.04.06 |
---|---|
정치 신예 이준석과 개혁신당: 3석의 작은 시작, 큰 변화의 가능성 (2) | 2025.04.04 |
심우정 검찰총장 딸 채용 특혜 의혹, 쟁점은 무엇인가? (2) | 2025.04.03 |
정치판을 뒤흔드는 이준석의 '꼰대 청산론': 차기 대선은 누구의 무대가 될 것인가? (0) | 2025.04.02 |
Z세대의 날카로운 정치 비판: 청소년 기자회견이 던진 충격파와 그 의미 (0) | 2025.03.30 |